철도 썸네일형 리스트형 DIA 관련 잡설 2 - 정말로 용문착발 열차라도 만들게요? 입영훈련 갔다온 이후의 첫 포스팅이로군요. 입영훈련을 갔다와서 조금 더 전투적이 되어버린 것 때문인지는 몰라도, 이번 포스팅에서는 수도권 전철과 일반열차가 경합하고 있는 중앙선 권역의 열차시각표 문제를 조금 빡세게 다루어 보려고 합니다. 제목부터에서 보이시죠? 여기에 부제까지 달아버리자니 정말 내용이 길 텐데, 부제까지 포함한 정식 제목은 "정말로 용문착발 열차라도 만들게요? - 수도권전철에도 경쟁력 없는 일반열차, 이대로 둘 것인가"입니다. 사실 KTX-2 운행개시 등의 이유로 2010년 4월 1일 열차시각표가 개정되기는 합니다. 그리고 그 개정 시각표의 발표 예정 일자는 2010년 2월 25일. 하지만 2009년 12월 23일에 수도권전철 중앙선의 국수 - 용문 연장구간 영업이 개시되었다는 것을 생각.. 더보기 Railro Project 2009 : Project 5 - 가 보기 힘든 간이역, 승부역 이제 슬슬 반환점인가요? 하지만 Railro Project 2009에서 써야 할 글은 무려 11개... -_-;;;;; 휴. 솔직히 정말 답이 안 나올 정도로 많긴 합니다만... 어떻게든 빨리 끝이 나야 합니다. 이걸 더 이상 미루었다가는 아무것도 못 하겠어요! ;ㅁ; Railro Project 2009 (20090806 ~ 20090812) - Project 1 : 마산야구장에 가다 (20090806) - Project 2 : 부전에서 목포까지, 근성으로 타는 경전선 (20090807) - Project 3 : 충북선 저녁열차, 로컬선에도 빛이 들려면 (20090808) - Project 4 : 산골짜기 한가운데, 아우라지에 가다 (20090809) - Project 5 : 가 보기 힘든 간이역, 승부.. 더보기 Railro Project 2009 : Project 4 - 산골짜기 한가운데, 아우라지에 가다 다행히, 저는 의도했던 제 시간에 일어날 수 있었습니다. 일어나 보니 05시 30분이었는데, 여유가 있다...고 생각하고 좀 꾸물거렸더니 결과적으로는 열차 시간에 많이 빠듯하게 제천역에 들어가고 말았습니다. 제천시의 버스 안내가 상당히 부실하더군요. 찜질방으로 들어올 때 걸어서 30분이나 들어갔던 것이 걸려서 이번에는 버스를 타고 제천역으로 나가려 했었는데, 정류장에 붙어 있던 버스노선 운행시간 안내 인쇄물은 2006년판이었던데다, 시내의 전광판도 초행인 사람에게는 도움이 전혀 안 되는 정보만 가득이었습니다. 어쩔 수 없이 또 제천역까지 걸어갈 수밖에 없었습니다. 중간중간 정류장에서 기다린답시고 시간을 조금조금씩 까먹는 바람에 06시 45분에야 제천역 도착. 역 앞에서 아침으로 김치찌개를 시켜 놓고 허겁.. 더보기 2009년 12월 1일 이루어질 열차시각표 개정 공고에 부쳐 최근, 2009년 12월 1일 DIA(열차시각표) 개정을 실시한다는 공고가 났습니다. 일반적으로 열차시각표 개정은 보통 부분개정의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모든 열차의 예매를 잠시 블록하는 일은 잘 하지 않는데, 10월 1일부로 모든 열차의 예매가 막힌 것으로 봐서는 아무래도 이번 개정이 규모가 있어 보이는군요. 그런데 이 열차 시각표 개정에 있어 정말 중요한 부분을 빠트리고 가면 곤란합니다. 코레일에서는 일반 여객철도의 정시율이 95%에 달한다고 광고를 하고 있습니다만, 제가 주목하는 부분은, 잠재적인 5%의 원인인 여객열차와 수도권 전동열차의 경합으로 인한 지연, 그리고 대피선 운용 문제입니다. 이 문제를 수정하지 않고서는 열차운행시간을 정말 "널럴하게" 짜지 않고서야 절대로 100%를 달성할 수 없.. 더보기 Railro Project 2009 : Project 3 - 충북선 저녁열차, 로컬선에도 빛이 들려면 사실 이 글을 원래 구상했을 때 제목은 '충북선 저녁열차, 어떤 기분일까?'였습니다. 그렇지만 이렇게 제목을 만들고 글을 써 내려가다 보니, 승/하차 모니터링까지 해 가면서 열차 완승을 시도한 적은 없었다는 사실을 간과했습니다. 그리고 충북선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자료를 토대로 보니, 이 제목이 충북선의 실상을 제대로 반영해 주지는 못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 제목을 이렇게 바꾸어 보았습니다. 다만 이것도 3일차 후기 삘이 나는군요. 생각 외로 적을 게 없었더랩니다 ;ㅁ; 본격적인 프로젝트...라고 해봐야 4~6번 프로젝트니... 이제 기대하셔도 좋을 듯합니다 :D Railro Project 2009 (20090806 ~ 20090812) - Project 1 : 마산야구장에 가다 (20090806.. 더보기 20090904. 인천국제공항철도 2차 토론회 저번에 제가 대학원에 가겠다는 나름대로의 선언 형식으로 쓴 글을 기억하시는 분도 있을 겁니다. 그의 일환으로, 철도와 관련된 것이라면 이제는 좀 학술적으로 놀아 보자...는 생각에 토론회나 세미나 등이 있을까 하고 알아보던 차에... 이런 것이 있더군요. 이 토론회는 사회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는-_- 인천국제공항철도로 대표되는 민자사업의 문제점과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에 대한 토론회였습니다. 다행히 제 이번 학기 시간표엔 금요일이 비어 있어서, 금요일에 열리는 이런 행사들에 참석할 수 있는 여유를 마련했지요. 이 포스터(?)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민주당 강창일, 김성순, 최규성 의원의 주최로 개최되었습니다. 사실 토론회 내용 같은 것은 많이 기록을 해 두지는 못했습니다. 토.. 더보기 Railro Project 2009 : Project 2 - 부전에서 목포까지, 근성으로 타는 경전선 Railro Project 2009에서 Project 2의 후기입니다. 이거, 쓰고 보니 사실상 2일차 후기가 되어 버린 듯한 인상이 강하게 드는군요. 이 날의 여행 중점이 딱 하나였던데다가, 특히나 여행과정 자체가 이번 프로젝트의 포인트였기 때문에... 뭐 어찌할 수 없는 거겠지요. 여튼, Railro Project 2009, 2번째 후기. 갑니다. 많은 코멘트 부탁드립니다 :) Railro Project 2009 (20090806 ~ 20090812) - Project 1 : 마산야구장에 가다 (20090806) - Project 2 : 부전에서 목포까지, 근성으로 타는 경전선 (20090807) - Project 3 : 충북선 저녁열차, 로컬선에도 빛이 들려면 (20090808) - Project .. 더보기 Railro Project 2009 : Project 1 - 마산야구장에 가다 Railro Project 2009 (20090806 ~ 20090812) - Project 1 : 마산야구장에 가다 (20090806) - Project 2 : 부전에서 목포까지, 근성으로 타는 경전선 (20090807) - Project 3 : 충북선 저녁열차, 어떤 기분일까? (20090808) - Project 4 : 산골짜기 한가운데, 아우라지에 가다 (20090809) - Project 5 : 가 보기 힘든 간이역, 승부역 (20090809) - Project 6 : 새로운 희망을 보다, 희방사역 (20090810) - Project 7 : 장항선 유람 - 이설 그 후 (20090811) - Project 8 : 섬진강 기차마을, 3년 전과 지금은? (20090811) - Project 9 :.. 더보기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