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도

20090110. 중앙선 신규개통구간 답사 ② 양수역 중앙선 답사 그 두번째 이야기입니다. 역시, 접힘처리되어 있습니다 :D 진중삼거리에서 2000-1번 버스에 올라서 가는 길은 그렇게 멀지 않았습니다. 양수교를 건너서 그냥 양수리에서 내리기만 하면 되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내리는 과정에서 사전에 알아보지도 않고 가는 바람에 중대한(?!) 실수를 해 버리고 맙니다. 여튼, 사진부터 감상하시죠. ㅎㅎ 양수리.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평은 전철로 올 수 있게 되리라고는 이제까지 상상도 못하고 있었던 곳 중에 한 곳입니다. 경기도에 마지막 남은 군에도 수도권전철이 들어온다니. 하하. 사실 앞 편에도 썼듯이 정말 등산객들을 위한 주말장사를 위하여 수도권 전철을 연장시키는 듯한 모양새가 강하게 나는 것 같습니다. (...근데 어쩌죠. 생각 외로 남는 것이 .. 더보기
20090110. 중앙선 신규개통구간 답사 ① 운길산역 개인적으로 국수역 개통이 ROTC 기초군사훈련 4일차에 있었기 때문에, 바깥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안에서 정말 관심이 많았습니다. 다만 아무 소식도 오지 않았었죠 (.....) 그 때문에 ROTC 기초군사훈련을 마치고 나서 가장 먼저 동호인활동을 위해 간 곳은... 바로 중앙선 연장구간이었던 운길산 - 국수 구간이었습니다. 일단 이번 편은 그 첫 이야기로, 운길산역까지의 이야기를 기록해 두었습니다. 역시 접힘처리되어 있습니다 :D 언제나처럼 집에서 중앙선 구간을 가는 데는 2012 말고는 이용하는 버스가 없습니다. 320을 타자니, 망우역과는 약간 거리가 있는 곳에서 내려 주는 감도 있고, 정 상봉터미널에서 내리자니... 한 바퀴를 빙 돌기 때문이지요. 아. 잡설이 너무 길었군요. 여튼 이번 답사의 출.. 더보기
20081215. 천안 - 신창 개통일 사진모음 ② 쌍용동/신창역 사실 이 두 역에 대해서 사진을 따로 다룬 이유는.. 이 두 역의 공통점만 봐도 잘 알 수 있을 겁니다. 대학교 역명이 대학교를 홍보해 주는 무기로 잘 기능한다는 것만큼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두 역의 경우는 아무리 봐도 "이건 아니다" 싶은 경우이지요. 하긴. 대학교 역명에 대해 역과 대학과의 거리 조건에 따라 붙일 수 있는 명칭을 달리하고, 역과의 거리가 지나치게 먼 대학교들은 대학교를 역명으로 붙일 수 없다는 규칙을 마련한 것도 1, 2기 지하철에서 대학교들에 의해 그렇게 데이고 나서였습니다. (서울대, 총신대 등등 역에 가까이 있지도 않은 대학교가 역명을 떡하니 차지하고 있는 등의 사례들이 있었죠.) 이 상황 하에서 코레일과 인천지하철공사는 "정 대학교 역명을 붙이고 싶거든, 부기역명.. 더보기
20081215. 천안 - 신창 개통일 사진모음 ① 봉명/배방/온양온천역 돌아오자마자 "제대로 된" 첫 번째 "철덕" 포스팅은... 아무래도 장항선 신규 개통역 특집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 글을 올려 봅니다. 사실 훈련에 들어가기 전에 사진을 공개하지 않았다는 것도, 또 이 역들에 관해서 개인적인 평들을 정리하지 않았다는 것도 심하게 걸리더군요. 천안 - 신창 구간에 개통한 역들의 부류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자는 대학의 이기주의가 심하게 관련되어 있는 역(쌍용동역과 신창역이 그 예이지요), 후자는 그렇지 않은 역들(나머지 역들)이지요. 일단 저는 후자의 역들부터 포스팅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산역은 이번 포스팅에서 빠지게 되었는데, 다름이 아니라 예전에 사진이 짧게 올라왔기 때문입니다. 나중에 다룰 기회가 있으면 한번 아산역만 다뤄 봐야겠다.. 더보기
20081130. 용산역의 변화, 그리고 용산 - 광명의 마지막 날 운행 ※ 개인 사정(?) 으로 글이 조금 늦게 올라왔습니다. 이해를; 2008년 11월 30일, 인공과 함께 "다시는 볼 수 없게 될지도 모르는 풍경들"을 주제로 답사를 진행했습니다. 혼자서 갈 수도 있었겠지만, 뭔가 이야기 붙일 사람도 없고 많이 심심하겠더라고요. 그날의 답사 코스는 망우 - 덕소 - 팔당 - 용산 - 광명 이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중에서도 용산 - 광명 부분에 대해서 한번 다루어 볼까 합니다. (연속 포스팅을 하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기도 합니다. 어제, 그러니까 2008년 12월 10일. 이 글을 올릴 사전준비를 어느 정도 끝마친 이후에 저는 이미 영등포 - 광명 구간을 다시 한번 갔다 왔습니다.) 12월 1일 이후에 벌어지는 용산역의 변화를 준비하는 모습도 나름 흥미로웠고, 용산.. 더보기
20080725. 또다시 오송에 가다. 또 디카를 빌려서 오송역에 다시 한번 갔다왔습니다. 3년 만이네요. 이번에는 자주 빌리던 삼성 GX-1s가 아니라 다른 후배녀석의 D200을 빌린지라, 사진의 질이 그리 좋지 못합니다. D200이 저에게 과분한 건지, 아니면 제가 이 디카를 처음 다뤄서 그런 건지. 일단 DSLR 카메라 사이즈가 조금 커지니까 감당을 못 하고 화밸도 이상하게 맞춰서 사진이 참 좋지 않게 나왔습니다. 이번에는 오송역 가기에 상당히 괜찮은 정보도 하나 넣어 봤습니다. 시간이 잘 맞았기 때문인지, 오송역으로 접근하기에 굉장히 좋은 노선도 파악했거든요. 사진이 30여 장이나 들어 있어서, 이번에도 스크롤의 압박으로 접힘처리를 했습니다. 계절학기도 막 끝났고, 집에서 빈둥대고 있던 전 아무래도 전환의 계기가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 더보기
블로그에 약간에 손을 댔습니다. 1. 지난해에 사용하던 ZF.CNS 스킨으로의 회귀. 아무래도 이 스킨이 여러 모로 제 블로그를 나타내기에 가장 적절하리라는 생각입니다. 비밀방명록 쓰기가 상당히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아무래도 변화가 필요할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2. 스킨만 바꾼 것이 아니고, 링크도 뜯어고쳐 놓았습니다. 블로그 주인과 블로그 명을 같이 명기하도록 링크를 바꾸어 놓았지요. 그리고 링크를 잘 살펴본다면 몇 가지 변화한 것들이 눈에 띌지도 모릅니다. 그냥 그렇다는 겁니다. 블로그 링크에 뭔가 선언적 의미를 부여하다니, 제가 생각해도 뭔가 우스운데요. 별로 눈에 띄지도 않는 걸 갖고. 3. ※ KRC Webring 사안의 경우 제가 오해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애당초 RSS feed를 부분공개로 설정하는 기능이.. 더보기
20080715. 나에게 숙제를 남긴 하루 어제는 생각보다 피곤한 하루였다. 그래도 어제 들었던 생각들을 정리하지 않을 수는 없겠다 싶어 글을 작성했다. 1. 코레일 고객대표 회의는 이제까지의 회의와 그리 크게 다르지 않았다. 레크리에이션도 만날 하던 것들이고, 또... 고객대표에 관한 이야기라든가 기타 등등 해서도 새로울 것은 그리 많이 찾아볼 수 없었다. 고객대표 관련 통계도 그걸 반증하더라. 처음 고객대표 2기가 발표된 2008년 3월에는 다들 활동을 굉장히 많이 했으나, 점차 활동이 줄어드는 양상을 띠고 있었던 걸로 봐서는. 2. 오늘 집중토론이나 자유토론 시간에는 아무것도 말하지 않았다. 아니 말할 게 없었다. 학과 공부에 바빴다는 핑계로... (실상 디씨질을 한다든가 하면서 집에서 뒹굴고 지냈던 게 누군데 이런 핑계를 대고 있는 걸 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