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도

2005년 8월 5일, 청주에서의 상념들 - 오송, 과연 옳은 것인가? 2005년, 제가 오송 분기역 사태에 관련된 글을 올렸던 블로그에도 이 사진들은 올라와 있습니다. 하지만 이 사진들을 저는 오늘 다시 들추고 생각해 볼까 합니다. 지금부터 쓰는 문구는 오로지 제 생각일 뿐이며, 여기에 대한 논의는 열어 두겠습니다. 2005년 6월 30일에 이루어진 호남고속철도 분기역 선정. 오송분기역 확정을 그렇게도 기뻐하는 한나라당 충청북도당과 충청북도. 그리고 열린우리당. 이 과정에는 당이 따로 없었다. 오로지 자기 지역의 발전만을 신경쓰던 그들의 이야기. 하지만 그 날 나는 항상 붐비는 가경동 버스터미널을 보았으며, 여객열차라는 모든 여객열차는 통과하고 화물열차나 정차하는 역무원 3명만이 상주하던 텅 빈 오송역, 또 진천에서 와서 승객들을 실어 날랐지만 종점인 청주역엔 승객이 3명.. 더보기
국감을 까보자 - 철도 미승차금액 204억, '불로소득'이라굽쇼? 언제나 그렇지만 국감은 항상 국회의원들이 자신의 비난 실력을 자랑하는 곳이지요. 철도에 관심을 많이 두고 산 저는 그래서 최근 국정감사를 꾸준히 지켜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얼마 전, 한나라당 유정복 의원이 "미승차인데 환불 안 된 금액이 3년새 204억이다"라면서 열차에 대한 환불체계를 개선하라며 코레일에 대한 맹비난에 나서셨습니다. 그 소식을 듣고 정말 기가 찬 나머지 저는 이렇게 반박 포스팅을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유 의원은 "미승차 시 승차 후 환불 가능 기간이 항공기는 1년, 고속버스는 2일, 그런데 KTX는 길어 봐야 3시간 정도다. 너무 가혹한 거 아니냐"는 말로 이 이야기에 대한 포문을 열었습니다. 그렇지만 실상은 유 의원이 말한 대로 하기에는 상당 부분 무리가 따릅니다. 자. 실상을 볼까요.. 더보기
20071003. 청량리역 사고, 그 이후. 나는 청량리에 갈 일이 좀 많은 편이다. 할머니댁도 청량리에 있고, 다른 지역으로 갈 때도 청량리역을 이용할 일이 좀 많기 때문이다. 그런 청량리역에 두 달 전 이런 일이 있었다. 청량리역 덮친 타워크레인 / 열차 기다리던 2명 사망…퇴근길 시민들 큰 불편 (한국일보 2007. 08. 14) 사고 때문에 안타깝게도 두 분이 돌아가시고, 열차 운행이 상당 시간 동안 중지되었던 사건이다. 자. 그러면 지금은 어떻게 되었을까. 그것이 궁금했던지라 청량리역을 찾아갔다. 그리고 사진을 찍어 이렇게 기록으로 남겼다. ※ 10월 3일에 촬영하였다. 당시 현장을 감시하고 있던 공사 인부는 건설현장을 찍을 수 없게 하였기 때문에 부득이 플랫폼 사진만 찍어 올린다. 더보기
20070519. 부산 국제철도물류전 2년 만에 부산에서 또 다시 국제철도물류전이 열렸다. (철도물류전과 모터쇼가 각각 격년제로 열리기 때문에, 올해는 철도물류전의 해이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이 행사를 보기 위해 난 Y와 함께 부산에 내려간 것이었다. (...Y를 '끌고' 간듯한 이 말투는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이미 이 전시회에 공개될 것들 중 일부에 대해서는 정보가 수집된 상태. 그 덕분에 어찌 생각하면 이번 전시회는 좀 김이 샌 전시회였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여기서 본 많은 것들은 나에게 상당한 흥미를 주었다. 여기에서는 내가 사진을 찍은 것들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였다. 나머지에 대해서는 다른 아는 동호인 등에게 물어보시라... 이번 철도물류전 최고의 화제작, KTX-II이다. 첫날에 갔던 사람들이 DC 철갤에 글을 올려서 한.. 더보기
20070519. 동해남부선, 우일역 2007년 5월 19일. 04시 30분 해운대역에 도착하자마자 아침 해를 보겠다고 동백섬으로 이동. 05시대를 전부 동백섬에서 보냈는데도 불구하고 구름 탓에 해는 뜨지 않았고, 06시 40분이라는 꽤 이른 시각에 아침을 먹었다. 식사를 마치니 07시. 벡스코에서 만나는 것은 09시 30분으로 당겨 놓은 상태이기는 했지만, 07시는 너무 이른 시각이었다. 어차피 해운대에서 벡스코까지는 지하철 2~3개 역 거리. 그냥 걸어가기로 결정한 나와 Y는 계속 걸어간다. 그러다 보이는 역... "아. 우일역이 있었지." 우일역에 생각이 미친 나는 Y를 데리고 우일역 승강장으로 올라갔다. 우일역 플랫폼 구역을 조금 넘어서 정차한 열차. 하기야. 통근열차일 때에는 저렇게 플랫폼 구역을 넘겨서 정차하지는 않았겠지만, 열차.. 더보기
20070512. 경춘선, 대성리역 경춘선 대성리역. 경춘선을 타면 "딱 절반 왔구나"라고 느낄 수 있는 역이다. (청량리 - 남춘천 총 운행시간이 100~120분인데, 대성리까지 60분이다.) 청량리에서 대성리 다음 역인 청평까지 기본운임구간인 관계로 MT가 이곳으로 집중되는 경우도 많다. 작고 아담한 역사. 하지만 MT철마다 집중되는 경춘선 좌석을 갉아먹는 젊은 사람들. ※ 가평 이후의 구간을 타는 사람들의 표를 갉아먹는다는 의미이다. 역무원 분들이 금/토/일만 되면 엄청 고생하셔서 일반 승객들이 보기에도 상당히 안쓰러울 정도이다. 하지만 경춘선 특유의 '자유성'은 여기에도 존재한다. 역명판에 하는 수많은 낙서들. (물론 락카칠을 하는 등의 행동은 하면 안 되지만.) ps. 나름 보너스랍시고 찍어 본 사진이다. 더보기
20070513. 경춘선, 강촌역 2007년 5월 12일~13일. 싸이월드 모 클럽의 MT 관계로 강촌에 갔었다. 여기에 실은 사진들은 그 사이 강촌역 주변에서 찍었던 사진들이다. 강촌역은 조금은 이상한 역이다. 주변 지형을 보면 이해가 되기는 하지만 경춘선 역 중에서 유일하게 피암 구조물이 함께하는 역이고, 또 경춘선에서 세 개밖에 되지 않는 단선 승강장이기도 하다. (신공덕, 사릉, 강촌. 신공덕역이 철도영업거리표 상에는 아직 남아 있기 때문에 세 개라고 적었다.) 그러면서도 MT수요 등으로 인해 전 열차의 필수 정차역이기 때문에 경춘선의 '병목 현상'을 유발하는 곳이다. (..여기만 아니었어도 경춘선의 배차는 45~60분에서 조금 더 줄어들 수 있었을 것이다.) 강촌역 매표소에서 타는 곳으로 진입하려면 계단을 올라갔다 내려가야 하지.. 더보기
영업중인 지하철 선로를 걷는다? 여기에 대한 법적인 문제. ※ 이 게시물은 2004년 1월 27일 업로드된 "시시로 in 스턴트 : 지하철 선로 달리기"에 대한 한마디입니다. 주소는 3곳입니다. http://my.blogin.com/sisiro("선로를 달리다"라는 제목으로 검색하면 나옵니다.) http://sisiro.idoo.net/p12144(웬일인지 아이두 블로그에도 업로드되어 있더군요.) http://talk.idoo.net/humor/p6701 (misato로 더 잘 알려졌을지도 모를 twinpix씨가 이걸 유머게시판으로 링크.) 철싸대 이야기를 하나 썼기 때문에, 이에 대해 탄력을 받아 또 하나의 이야기를 쓴다. 바로, 영업중인 지하철 선로를 걸은 이야기를 자랑스럽게 올린 시시로씨 이야기. 이 글에 호응하여 "나도 지하철 선로를 걷겠어"라고 다짐하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