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20090315. 근황입니다! 오랜만에 땜빵입니다! 역시 너무 오랫동안 포스팅이 올라오지 않은(...) 덕분에, 이렇게 글을 쓸 수밖에 없군요. 게다가 새로운 떡밥(?)은 다음주에나 등장하게 될 것 같으니 말입니다. 1. DSLR 카메라를 구입했습니다. 모델은 삼성 GX-20. (2009. 2. 16.) 집에선 "왜 삼성을 샀냐"고 뭐라고 하시던데... 아버지이 ;ㅁ; 이거 펜탁스 K20D랑 쌍둥이라니깐요... 생활비도 집에서 받지 못하는 입장이라 과외에 근로장학생 해 가면서 모은 돈으로 사고 말았으니, 정말 요긴하게 써야겠습니다. 앞으로 A95로 찍은 사진들은 여기에 잘 올라오기 힘들겠군요. 카메라를 동생 줘 버렸으니... 다만, 이 카메라를 사고 나서 사진술을 처음부터 다시 배워야겠다는 생각이 심심찮게 들고 있습니다. A95 쓰면.. 더보기 20090110. 중앙선 신규개통구간 답사 ③ 국수역 마지막 업로드가 좀 늦죠? 그새 학교 일들로 인해 좀 바빴습니다 =_=..... 에휴. 여튼 이것까지 끝내 주어야 다른 글을 쓸 수 있으니, 빨리 이 글을 쓸 수밖에는 없겠군요. 휴. 양수역에서 저희를 태운 열차는... 종착역인 국수역을 향해 달립니다. 양수 - 국수 간은 단선 구간이라고 어디서 이야기를 얼핏 들었는데... 사실 신원역까지는 복선이더군요. 플랫폼 등의 공사도 제대로 되지 않아 신원역은 이번 개통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용문까지 개통할 때 같이 개통하지 않을까 조심스레 짐작해 봅니다만, 근데 여기 개통해봤자 수요가 얼마나 있을지 개인적으로는 심히 의문스럽군요. 양수역에서 국수역까지는 7분 정도가 소요됩니다. 양수 - 신원 - 국수의 역간거리가 모두 좀 만만찮아서 말입니다. 개인적으로는.. 더보기 20090110. 중앙선 신규개통구간 답사 ② 양수역 중앙선 답사 그 두번째 이야기입니다. 역시, 접힘처리되어 있습니다 :D 진중삼거리에서 2000-1번 버스에 올라서 가는 길은 그렇게 멀지 않았습니다. 양수교를 건너서 그냥 양수리에서 내리기만 하면 되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내리는 과정에서 사전에 알아보지도 않고 가는 바람에 중대한(?!) 실수를 해 버리고 맙니다. 여튼, 사진부터 감상하시죠. ㅎㅎ 양수리.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양평은 전철로 올 수 있게 되리라고는 이제까지 상상도 못하고 있었던 곳 중에 한 곳입니다. 경기도에 마지막 남은 군에도 수도권전철이 들어온다니. 하하. 사실 앞 편에도 썼듯이 정말 등산객들을 위한 주말장사를 위하여 수도권 전철을 연장시키는 듯한 모양새가 강하게 나는 것 같습니다. (...근데 어쩌죠. 생각 외로 남는 것이 .. 더보기 20090110. 중앙선 신규개통구간 답사 ① 운길산역 개인적으로 국수역 개통이 ROTC 기초군사훈련 4일차에 있었기 때문에, 바깥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안에서 정말 관심이 많았습니다. 다만 아무 소식도 오지 않았었죠 (.....) 그 때문에 ROTC 기초군사훈련을 마치고 나서 가장 먼저 동호인활동을 위해 간 곳은... 바로 중앙선 연장구간이었던 운길산 - 국수 구간이었습니다. 일단 이번 편은 그 첫 이야기로, 운길산역까지의 이야기를 기록해 두었습니다. 역시 접힘처리되어 있습니다 :D 언제나처럼 집에서 중앙선 구간을 가는 데는 2012 말고는 이용하는 버스가 없습니다. 320을 타자니, 망우역과는 약간 거리가 있는 곳에서 내려 주는 감도 있고, 정 상봉터미널에서 내리자니... 한 바퀴를 빙 돌기 때문이지요. 아. 잡설이 너무 길었군요. 여튼 이번 답사의 출.. 더보기 20081215. 천안 - 신창 개통일 사진모음 ② 쌍용동/신창역 사실 이 두 역에 대해서 사진을 따로 다룬 이유는.. 이 두 역의 공통점만 봐도 잘 알 수 있을 겁니다. 대학교 역명이 대학교를 홍보해 주는 무기로 잘 기능한다는 것만큼은 사실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두 역의 경우는 아무리 봐도 "이건 아니다" 싶은 경우이지요. 하긴. 대학교 역명에 대해 역과 대학과의 거리 조건에 따라 붙일 수 있는 명칭을 달리하고, 역과의 거리가 지나치게 먼 대학교들은 대학교를 역명으로 붙일 수 없다는 규칙을 마련한 것도 1, 2기 지하철에서 대학교들에 의해 그렇게 데이고 나서였습니다. (서울대, 총신대 등등 역에 가까이 있지도 않은 대학교가 역명을 떡하니 차지하고 있는 등의 사례들이 있었죠.) 이 상황 하에서 코레일과 인천지하철공사는 "정 대학교 역명을 붙이고 싶거든, 부기역명.. 더보기 20081215. 천안 - 신창 개통일 사진모음 ① 봉명/배방/온양온천역 돌아오자마자 "제대로 된" 첫 번째 "철덕" 포스팅은... 아무래도 장항선 신규 개통역 특집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 글을 올려 봅니다. 사실 훈련에 들어가기 전에 사진을 공개하지 않았다는 것도, 또 이 역들에 관해서 개인적인 평들을 정리하지 않았다는 것도 심하게 걸리더군요. 천안 - 신창 구간에 개통한 역들의 부류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자는 대학의 이기주의가 심하게 관련되어 있는 역(쌍용동역과 신창역이 그 예이지요), 후자는 그렇지 않은 역들(나머지 역들)이지요. 일단 저는 후자의 역들부터 포스팅을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산역은 이번 포스팅에서 빠지게 되었는데, 다름이 아니라 예전에 사진이 짧게 올라왔기 때문입니다. 나중에 다룰 기회가 있으면 한번 아산역만 다뤄 봐야겠다.. 더보기 20081210. 영등포 - 광명 셔틀열차 ※ 이 포스팅은 저번 포스팅에 이은 연작입니다. 2008년 12월 10일. 광명 셔틀이 실제로 영등포 - 광명으로 단축된 지 10일째. 마침 학교 과목들도 대부분 종강하고, 시험을 앞두고 있던 차에 너무 심심했던(...) 저는 이번에는 이 셔틀열차를 타 보기로 결심했습니다. 요즘따라 사진을 많이 찍게 되더군요. 사진이 40여 장에 달하기에, 이 글은 오랜만에 사진일기 형식으로 구성해 보았습니다. 영등포역 지상 출구를 통해 이동하는 것보단 지하를 통해 내려갔다가 광명행 플랫폼으로 가 보는 것이 낫겠다 싶어 한번 내려가 보았습니다. 광명셔틀에 대한 코레일의 배려는 생각보다 엄청난 수준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것이 정말 코레일의 능력인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말입니다. 위 사진에서도 보이다시피, 광명셔틀의.. 더보기 20081130. 용산역의 변화, 그리고 용산 - 광명의 마지막 날 운행 ※ 개인 사정(?) 으로 글이 조금 늦게 올라왔습니다. 이해를; 2008년 11월 30일, 인공과 함께 "다시는 볼 수 없게 될지도 모르는 풍경들"을 주제로 답사를 진행했습니다. 혼자서 갈 수도 있었겠지만, 뭔가 이야기 붙일 사람도 없고 많이 심심하겠더라고요. 그날의 답사 코스는 망우 - 덕소 - 팔당 - 용산 - 광명 이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중에서도 용산 - 광명 부분에 대해서 한번 다루어 볼까 합니다. (연속 포스팅을 하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기도 합니다. 어제, 그러니까 2008년 12월 10일. 이 글을 올릴 사전준비를 어느 정도 끝마친 이후에 저는 이미 영등포 - 광명 구간을 다시 한번 갔다 왔습니다.) 12월 1일 이후에 벌어지는 용산역의 변화를 준비하는 모습도 나름 흥미로웠고, 용산.. 더보기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