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0070221. 인천국제공항철도 개통 전 시승행사 그렇다. 지금부터의 기록은 2007년 2월 21일, 인천국제공항철도 시승 행사의 기록들이다. 이 시승행사는 2007년 2월 21일부터 2007년 3월 15일까지 일요일을 제외하고 진행되었으며, 시승인원은 2월 21일 50명, 나머지 날짜는 100명이었다. [오전/오후로 나뉘었던 듯하다.] 시승 코스는 14시 17분 완행열차를 타고 인천국제공항까지 갔다가 15시에 급행을 타고 다시 나오는 코스. 사진 정리를 하다 보니, 급행열차에 대해서는 사진을 찍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어쩔 수 없는 사정(으응?)이었으니 미리 양해를 구해 둔다. 김포공항역 기준으로 일반열차 3100원, 급행열차 7800원의 높은 운임을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시설이나 서비스는 나름 괜찮았다. 급행의 경우 단독석도 1량당 두 자.. 더보기
20070221. 인천국제공항철도 A'REX 김포공항역 승차권 발권 시연 김포공항 역장님, 센스 지대입니다 -_-乃 철저한 지적확인. 그리고 발권. 여기에서 카드 비밀번호가 1234인 것을 볼 수 있을 텐데요, 다른 이유가 아니라, 이 카드가 테스트용이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 오늘은 동영상만 우선 올렸고, 2월 21일 인천국제공항철도 A'REX 시승에 관한 본 포스팅은 내일 업로드됩니다. 더보기
20070118. 촌극寸劇 in 구로차량사무소 ※ 여기에서 사람을 칭할 때는 ‘닉네임 + 호칭’을 원칙으로 하였다. 2007년 1월 18일. BVT KOREA에서 ‘메카포(mekapo)’군의 주최 하에 한국철도공사 구로차량사무소 견학을 했다. (구로차량사무소에 대한 신청은 ‘에리전(dlckdgh234)’씨가 했으나, 앞서 1월 4일에 했던 시흥차량사무소 견학과 함께 묶어서 메카포군이 주최하였다.) 내가 나갔던 외부 활동 BVT 오프로는 꽤 오랜만의 외출이었다. 하지만 여기에서 나는 상당한 불만만을 안게 되었다. (하기야, 내가 그 사람들 중에 두 번째로 연장자였기도 했지...) 이날 모임에서 최연장자는 이미 대학 재학중이던 에리전씨였다. 당시 모인 회원들은 중고생이 대부분이었으나, 에리전씨를 그래도 연장자로 제대로 대우해 주던 회원은 아무도 없었다... 더보기
20070328. Cheongnyangni. 3월 28일, 원주에서 기차를 타고 청량리로 올라왔다. 청량리에 도착하니 갑자기 선로변경을 여러 번 하는 열차. 결국은 이 열차는 경춘선 착발 플랫폼인(!) 2번 플랫폼에 도착했다. 하기야. 경춘선 막차도 떠나버린 23시 03분. '고객 편의를 위해서'였을까... 난 잘 모르겠다. 열차가 이렇게 지연되어 버리기는 했지만, 나는 피곤과 함께 행복함을 안고 있었다. 여튼, 이건 정말 이례적인 상황인지라 전철 플랫폼으로 넘어와서 사진을 찍어 보았다. 이 사진을 찍자마자 열차는 플랫폼을 떠났고, 2번 플랫폼은 다시 비었다. 더보기
서울시 대중교통, 환승에 관한 모든 것! [20070208 기준] 환승 대기시간에 관하여 07:00 이전 : 1시간 / 07:00 ~ 21:00 : 30분 / 21:00 이후 : 1시간 07:00 이전이나 21:00 이후는 새벽 첫차 시간대거나 밤 막차 시간대라 차가 잘 없죠. 그렇기 때문에 환승제한시간이 1시간입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30분을 적용합니다. 이걸 어떻게어떻게 악용하면 돈을 아낄 수도 있는데, 기사분들의 눈총 정도는 각오해야 할 것입니다. =_= (여기에선 다루지 않겠습니다.) ※ 06:30에 하차단말기를 찍은 후 07:20에 승차단말기를 찍는 경우나, 20:40에 하차단말기를 찍은 후 21:20에 승차단말기를 찍는 경우에 대해서 혹시 아시는 분 있으면 여기에 덧글 달아주세요. 수정하겠습니다. 아니면, 제가 직접 해야죠. 환승 요금에 관하여 상황 1.. 더보기
청량리발 부전행 심야열차 이야기. #509 (청량리발 부산행) - 2004년 4월 1일 이전 최종(월간시각표 2004년 2월호 참조) 청량리 21:00 - 양평 21:54 / 21:55 - 용문 22:07 - 원주 22:52 / 22:53 - 제천 23:36 / 23:39 - 도담 23:57 - 단양 00:04 - 풍기 00:34 - 영주 00:48 / 00:56 - 옹천 01:14 - 안동 01:35 / 01:36 - 의성 02:02 - 탑리 02:14 - 영천 02:56 / 02:58 - 경주 03:37 / 03:40 - 호계 04:09 - 울산 04:18 / 04:20 - 좌천 04:53 - 기장 05:04 - 해운대 05:19 / 05:20 - 부전 05:40 - 부산진 05:47 - 부산 05:50 #1639 (청량리발 부전행).. 더보기
20061231. 동해남부선, 남문구역 자. 여기가 어딜까.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 법조타운 바로 앞 자그마한 '컨테이너 박스' 간이역. 남문구역이다. (...이게 역이냐. 임시 승강장이지 -_-) 단선에 임시 승강장. 정말 초라한 역이다. "그런 역 경의선에 가면 많잖아요"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을 텐데, 그런 사람들에게 한번 물어보고 싶다. 이런 역들이 도심에 있냐고. 사실 집표함은 두 곳에 있었다. 표는 얼마 없었고, 그마저도 "해운대 → 부전" 등 종착역이 부전으로 표기된 표였다. 이러다 보면 결국 해당 역들의 이용객 수가 왜곡되고, 결국은 역의 폐역으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런 면에서 모든 표의 전산발권은 너무한 처사라고 생각하지만, 2004년 4월 1일 이후의 철도청(현 철도공사)은... 가끔은 에드먼슨식(마분지) 표가 더.. 더보기
20061231. 동해남부선. 거제역. 거제역. 정말 도심 속의 간이역 하나라고 부르기에 딱 좋은 역이다. 옆에는 골목길 하나와 대로(거제로) 하나가 놓여 있고. 어째 매표업무를 하는 역이기는 하지만, 열차는 '통궁호' 이외에는 그리 많이 서지 않는다. (...주변을 봐라. 대로변에 버스가 보기좋게 질주하는 판에 누가 굳이 기차를 탈까...) 그럼, 사진을 볼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