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내일로티켓 여행 D-45. 기초 장거리 이동계획 입안 야구를 안 보고, 또 기차마을 같은 곳에 가지 않고 한다면 분명히 이것보다는 조금은 편안한 일정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주도하는 여행팀의 경우에는 야구도 좋아하고 또 철도도 좋아하기에 이렇게 근성 있게(?) 일정을 짜 보았습니다. (근데 야구는 다 볼 수 없다는 것 -_-) 이 일정대로라면 전국의 주요 간선들은 다 돌게 됩니다.(진해선, 정선선 등과 같은 지선과, 동해남부선 경주 - 포항은 탑승할 수 없다는 것이 상당히 아쉽습니다. 하지만 일정을 짜다 보니 이 부분은 어쩔 수 없는 듯하군요.) 여기에서 시내교통에 대한 부분은 아직까지는 없습니다. 없을 수밖에 없지요. 기차를 이용한 일정만 짜고 있었는데요. 차차 채워 나가는 겁니다. 뭐 방법 있습니까... 에휴... 도와 주실 분 있으면 덧글.. 더보기
서울도시철도공사 차내노선도에 관한 잡설 최근 서울도시철도공사(SMRT)의 차내노선도가 바뀌었다. "5678 서울도시철도"[FOOTNOTE]이 명칭을 완전히 쓰면 "시민과 함께 행복한 5678서울도시철도"이다. 이것은 서울도시철도공사의 시민에 대한 철학과 의지를 담은 비전 구호라고 한다. 2006년 6월 5일 선포된 이후 "서울도시철도공사"라는 딱딱한 명칭을 대신하여 쓰이고 있다. '서울지하철공사(SMSC)'에서 완전히 사명까지 바꾼 '서울메트로(SMT)'와 비슷한 경우라고 볼 수 있겠다.[/FOOTNOTE]라는 명칭을 차내노선도에도 적용함과 동시에 지하철을 이용하여 갈 수 있는 명소들에 대한 안내도 해 놓고 있다. 이는 시민에 대한 안내 서비스를 강화하는 측면에서는 분명 좋은 시도이다. 하지만 지적하고 싶은 몇 가지의 문제들이 있다. 우선, .. 더보기
부산교통공사의 코레일멤버십카드(KTX패밀리카드) 차별대우 코레일멤버십카드가 교통카드로 쓰일 수 있다는 것은 여러분들도 아실 겁니다. 코레일멤버십카드에는 마이비카드로 쓸 수 있는 기능이 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조만간 수도권 교통카드 기능도 들어간다고 하니... 음. (근데 U-Pass 계열일지, T-Money 계열일지 모르겠네요. U-Pass 계열이면 원주가 사용가능지역에 추가됩니다만.) 그런데 제가 지금 여기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는 이것이 아니지요. 바로, 부산에서 코레일멤버십카드의 지위입니다. 부산지하철에서 코레일멤버십카드를 찍어 보셨나요? 원래 부산지하철을 교통카드로 탑승할 경우에는 현금 탑승금액인 1100원에서 10%를 할인해 줍니다. 청소년의 경우는 30% 할인이 들어가지요. 하지만 코레일멤버십카드를 찍고 타면, 어떻게 등록된 카드건 1100원이 찍히.. 더보기
[관악02] 정겨운 불규칙 배차의 본좌? 노선 : 관악02 운영회사 : 인헌교통 배차 : 3~5분이라고 쓰여져 있으나 5분 이내의 불규칙성. 인가대수 : ??? (알게 되면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그렇다. 이번에 소개하려 하는 노선은 관악02이다. 관악02는 낙성대역을 출발해서 서울대 후문으로 들어와, 기숙사를 거쳐 사범대 노천강당에 들렀다가 신공학관으로 향하는 노선이다. 중간에 인헌아파트를 경유하기도 하나, 서울대 방향의 경우는 오전 11시까지 인헌아파트를 경유하지 않고 직행한다. 중간에 양방향 전부 들어갔다 나오는 곳이 두 곳이나 있는 노선이라, 개인적으로는 좀 특이해 보여서 포스팅 자료로 쓰고 있는 것이다. 소리소문없이 4월 1일부로 경영대순환(청) / 공대순환(적) 노선을 만들었다가, 며칠 뒤 다시 소리소문없이 원래대로 바꿔버린 노선이기.. 더보기
아침에 마을버스를 타고 오면서. 난 정기권 통학 시절에는 셔틀버스를 이용했지만, 정기권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요즘은 월요일 아침에 항상 마을버스를 탄다. 보통 마을버스를 타러 도착하는 시간은 08시 10분. 하지만 오늘은 집에서 빈둥대느라(...) 늦게 나온 터라 마을버스 정류장에 08시 40분이 되어서야 도착했다. 어익후. 줄 쩌네-_-(...09시에 1교시다 보니 이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이야기다) 하지만 그것보다도 날 놀라게 했던 것은 마을버스의 막장배차였다. 마을버스가 꼬리에 꼬리를 물고 배차됨은 기본이었다. (덕택에 줄은 빨리 빠졌다.) 심지어는 운행 중 같은 노선 버스를 앞지르는 만행까지 보여주더라. 노선 자체가 좀 흥미롭기도 해서, 아무래도 이 노선에 대한 리뷰를 작성해 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고로, 빠르면 다음날에 쓰.. 더보기
20070519. 부산 국제철도물류전 2년 만에 부산에서 또 다시 국제철도물류전이 열렸다. (철도물류전과 모터쇼가 각각 격년제로 열리기 때문에, 올해는 철도물류전의 해이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이 행사를 보기 위해 난 Y와 함께 부산에 내려간 것이었다. (...Y를 '끌고' 간듯한 이 말투는 도대체 무엇이란 말인가.) 이미 이 전시회에 공개될 것들 중 일부에 대해서는 정보가 수집된 상태. 그 덕분에 어찌 생각하면 이번 전시회는 좀 김이 샌 전시회였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여기서 본 많은 것들은 나에게 상당한 흥미를 주었다. 여기에서는 내가 사진을 찍은 것들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였다. 나머지에 대해서는 다른 아는 동호인 등에게 물어보시라... 이번 철도물류전 최고의 화제작, KTX-II이다. 첫날에 갔던 사람들이 DC 철갤에 글을 올려서 한.. 더보기
20070519. 동해남부선, 우일역 2007년 5월 19일. 04시 30분 해운대역에 도착하자마자 아침 해를 보겠다고 동백섬으로 이동. 05시대를 전부 동백섬에서 보냈는데도 불구하고 구름 탓에 해는 뜨지 않았고, 06시 40분이라는 꽤 이른 시각에 아침을 먹었다. 식사를 마치니 07시. 벡스코에서 만나는 것은 09시 30분으로 당겨 놓은 상태이기는 했지만, 07시는 너무 이른 시각이었다. 어차피 해운대에서 벡스코까지는 지하철 2~3개 역 거리. 그냥 걸어가기로 결정한 나와 Y는 계속 걸어간다. 그러다 보이는 역... "아. 우일역이 있었지." 우일역에 생각이 미친 나는 Y를 데리고 우일역 승강장으로 올라갔다. 우일역 플랫폼 구역을 조금 넘어서 정차한 열차. 하기야. 통근열차일 때에는 저렇게 플랫폼 구역을 넘겨서 정차하지는 않았겠지만, 열차.. 더보기
20070518 - 20070520. 여행을 떠나다... 2007년 05월 18일. 나는 부산으로 떠났다. 1박 3일 간의 여행. 조금은 힘들었지만, 그만큼 잘 놀았다고 자평하련다. ps. 고마워, L. P. K. and 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