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20061231. 동해남부선. 거제역. 거제역. 정말 도심 속의 간이역 하나라고 부르기에 딱 좋은 역이다. 옆에는 골목길 하나와 대로(거제로) 하나가 놓여 있고. 어째 매표업무를 하는 역이기는 하지만, 열차는 '통궁호' 이외에는 그리 많이 서지 않는다. (...주변을 봐라. 대로변에 버스가 보기좋게 질주하는 판에 누가 굳이 기차를 탈까...) 그럼, 사진을 볼까. 더보기 20061230. 부산지하철 3호선 만덕역... 만덕(310) 부산지하철 3호선 최고의 안습 역이다...(부산지하철 3호선의 건설 이유가 되기도 한다.) 이 역의 개통으로 인해 대한민국에서 가장 깊은 곳에 자리한 역 기록도 깨졌다. 자, 그럼 한번 보실까... 더보기 20061230. Gwangmyeong Airport (에에?) 광명역. 일명 '광명공항'이라고까지 불리는 역이다. ...물론, 역 규모가 엄청나게 큰데다 유리궁전이다 보니까는 그렇게 불리는 것이고. 문제는, 이 공항의 인구밀도가 너무 낮다는 것... -_- 더보기 20061230. Jinhae Liner. 2006년 11월 1일, 철도공사 다이아 대개정과 함께 탄생한 사상 초유의 라이너 시리즈들. (...이젠 '어디서 굴러먹는 똥차' 신세가 되어버린 초기형 PP들과 함께하는...) 이번엔 그 중 하나, 진해 라이너에 대해서 포스팅을 작성해 본다. 참고로, 부산에 가면서 해당 열차를 이용해 보았기 때문에 이날 이용 열차는 다음과 같다. #139 광명 → 동대구 / #1083 동대구 → 진해 #1084 진해 → 창원 / #1936 진해 → 구포 (말그대로 삽질이다... 환승대기만 30분에다 -_-) 이 열차의 수요는 '임진강 라이너'에 비하면 굉장히 많았다. KTX 환승수요 탓에 3호차와 4호차가 거의 꽉 찰 정도였으니. 그런데 승객들은 거의 창원에서 다 내렸다. (...하기야, 진해 자체가 도시가 작은데.... 더보기 20061226. 중랑차고지에서 찍은 사진들. 날도 따뜻하고 심심하기도 해서 중랑차고지 나갔다 찍은 사진들. 더보기 '首尔'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다. 짜르방(?)은 #1071~#1074. 일명 "임진강 라이너"의 행선판이다. 로마자와 한자를 병기한 자리에 '首尔'라는 한자가 보이는가. 예전엔 저 자리에는 로마자 표기만 존재했다. (서울에 대한 중국어 발음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서울시에서 서울의 중국어 표기를 정하자, 외교부에서는 이것을 정부 시책으로 알려 버렸다. 덕분에 요즘 붙는 역명판이라든가 기타 안내판 등등에는 전부 '首尔', 혹은 '首爾'가 써져 있다. 그런데, 뭔가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않는가? 분명 '중국어' 표기인데, 왜 여기저기 안내판에 붙이고 있을까? 이는 중국에 대한 사대주의라고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 읽지도 못하는 한자(정자)를 잔뜩 붙여놓고서 '외국인에 대한 안내'네 하고 있는 사람들은 과연 무슨 생각을 하고 있.. 더보기 20061215. 경원선 의정부-동두천-소요산 개통식에서... ...대단하지 않은가! 더보기 20061215. 오늘부터 등장한 1호선의 New Face! 둘다 녹양역 촬영. 오늘은 일이 있어서 사실상의 땜빵 포스트다...;; ...근데, 왜 동두천에 저항을 집중배차시키고 난리냐... ;ㅁ; 더보기 이전 1 ··· 25 26 27 28 29 다음